목 차
l 사업 전개 계획
l 사업 전개를 위한 KEY FACTORS
l 단계별 전개 계획
l 사업 운영 계획
l 업무 분장
l 조직 구성
l 인력 개발 계획
l 시설준비
l 시스템 CUSTOMIZATION
l 영업 계획
l 운영 전략
l 오픈 일정 계획
l 매출 및 손익 계획
사업전개계획
사업전개방향
해외 유명 브랜드인 DKNY의 의류와 악세사리를 수입하여 당사가 국내에 독점적으로 유통시키는 브랜드사업의 형태로 전개한다.
사업의 목표
미국의 유명 브랜드인 DONNA KARAN의 의류와 악세사리의 수입 및 판매를 통하여 국내 패션시장의 국제화를 선도해 간다.
l Merchandise value as a core competence
고객에 대해서는 VALUE를 사업의 KEY로 하는 사업으로서 포지셔닝(VALUE MARKETING)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품가치와 더불어 점포를 통한 유통가치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마아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전개토록 한다.
사업전개를 위한 KEY FACTORS
DONNA KARAN사업은 기본적으로 시스템적 사업의 성격을 띠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점포나 구매의 역할은 상품운영시스템의 보조적 역할을 수행할 뿐 사업의 핵심적 요소는 효율적인 상품관리 특히 효율적인 상품재고관리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상품부문
상품부문을 크게 구매와 물동 기능으로 구분해 볼 때 구매보다는 물동을 중심으로 시스템이 구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는 상품정보를 분석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전제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머천다이징 싸이클과 상품재고의 효율적 운영이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영업역시 기본적으로 상품에 대한 정보와 관리를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운영될 필요가 있다.
지원부문
영업지원과 관련하여 고정고객 관리를 중심으로 하는 판촉활동을 제외하고는 점포기능을 최소화하고 대신 본부의 통합적인 마아케팅 및 머천다이징 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매장부문
DONNA KARAN 점포에서의 매장의 역할은 캐셔를 중심으로 한 인력관리가 기본이라 할 수 있다. 점장은 캐셔와 같은 판매인력을 통하여 구색 및 진열관리를 행할 수 있도록 교육 관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매장인력의 경우 가장 큰 운영비용 발생요소이므로 기간인력을 최소화하여 운영토록 하며 가능한 판매보조 인력은 파트타이머를 활용하는 등의 비용절감을 중시토록 하여야 한다.
교육부문
DONNA KARAN사업 전개에 있어 가장 중심적 역할은 머천다이징 관리 기능을 행하는 인력으로서 품목 내지 직능별로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단계별 전개계획
DONNA KARAN사업은 1호점 청담동 빌딩의 오픈을 기준으로 단계별 주요 추진업무 특성에 따라 조직 및 운영체계를 구축한다.
n 사업준비단계; DONNA KARAN시스템 파악단계
n 1호점 오픈 준비단계; 운영시스템 구축단계
n 초기운영단계; LAUNCHING단계
n 확장단계; 다점포 CHAIN OPERATION단계
각 단계별 주요 추진업무는 머천다이징, 마아케팅, 매니지먼트라는 3대 기능을 중심으로 조직과 인력을 편성토록 한다.
[단계별 중점 추진업무]
PHASING PLAN |
1단계 |
2단계 |
3단계 |
4단계 |
기한 |
96. 8 |
96. 9 |
97. 10 |
97. 3 ~ |
주요 TASK |
조직구성 |
1호점 오픈준비 |
LAUNCHING |
다점포화 |
점포 |
|
|
청담동, 명동 |
서울 주요 백화점 |
머천다이징 |
MD FLOW분석 시스템분석 |
시스템 CUSTOMIZATION 발주 |
상품편성 진열 |
재고운영의 효율화 |
마아케팅 |
|
사전광고 홍보활동 |
판촉전개 이벤트실시 |
|
매니지먼트 |
|
교육프로그램 개발 |
창고준비 |
물류의 체계화 |
사업운영계획
운영기본방향
l 상품과 인력 중심의 운영체계
상품과 인력 운영의 효율화를 최우선 과제로 하여 운영의 기본체계를 구축한다.
n 상품의 경우; 단품관리 시스템과의 연동
n 인력의 경우; 인건비 지출의 최소화
l JOB DESCRIPTION의 명확화
인력 면에서는 담당자를 중심으로 JOB에 대한 책임과 권한을 명확히 하는 것을 중점포인트로 하여 모든 계획을 수립하며 상품면에서는 상품재고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품, 영업 등 모든 머천다이징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핵으로 모든 업무를 구성토록 한다.
[JOB DESCRIPTION]
기능 |
JOB DESCRIPTION |
|
GENERAL MANAGER |
총괄 |
마아케팅, 매니지먼트, 머천다이징 총괄 |
FINANCIAL CONTROLLER |
총무
인사 영업관리 |
대형점개설허가, 창고준비, 오픈준비, 인허가사항, C/MANAGER지원 인력충원, 교육프로그램 개발 영업분석, 매매익관리, 비용관리 |
MARKETING STAFF |
물동
광고판촉 |
시스템CUSTOMIZATION, 통관관련업무, 입출고업무, 점별 물량배분, 재고관리, ROTATION관리 월별 영업전략, 매체운영계획, 이벤트 및 판촉 프로그램 개발, 고정고객 관리 지원, VMD CONTROL, 홍보 |
MERCHANDISING STAFF |
여성의류 남성의류 악세사리 |
CHIEF와 VICE를 기본으로 2인 1조 운영(총 3개 파트) |
l 독립채산제의 점포운영
점포조직은 본부 조직과 별도로 구성하며 본부와 점포간의 독립채산제의 성격으로 운영하며 점장은 점포 및 재고운영의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지도록 한다.
점포조직은 물론 본부조직 또한 모두 Profit Center단위로 운영하여 매매익에 대한 책임관리가 이루어지게 한다.
본부에서 각 점포를 지원하는 마아케팅 및 머천다이징 활동, 아울러 기타 지원 활동에 대하여 각 점에 합리적으로 배부할 수 있는 관리회계기준을 개발 도입하여 철저한 책임경영을 지향케 한다.
업무분장
l GENERAL MANAGER의 역할; 사업총괄
모든 업무는 GENERAL MANAGER를 중심으로 구성토록 하며 이러한 GENERAL MANAGER는 마아케팅, 머천다이징, 매니지먼트에 대한 종합적 경험을 갖고 있는 부장급 인력을 대상으로 한다.
l GENERAL MANAGER의 보조; 기능적 분권화
GENERAL MANAGER는 본부 조직과 점포조직에 대하여 총괄한다. 본부 조직의 경우 크게 MANAGING, MERCHANDISNG, MARKETING이라는 3개 영역을 중심으로 STAFF조직을 둔다.
[본부조직 기본체계]
조직구성
1호점이 사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하여 오픈까지는 점포와 본부를 통합하여 운영한다. 따라서 2호점 오픈전까지 GENERAL MANAGER가 점장을 겸하며 2호점 오픈시 별도 점포조직을 구성한다. 1호점 조직은 본부조직 그 자체로 하여 머천다이징 및 매니지먼트 파트가 점포 운영에 적합한 운영시스템을 구축으로 목표로 업무를 분장토록 한다.
본부조직
본부조직의 경우 형식적으로는 DONNA KARAN에서 요구하는 조직 모양새를 갖지만 실질적으로는 본안에 의거하여 관리, 상품, 지원 3개조직을 기본으로 본부조직을 구성토록 한다.
상품조직
상품조직은 매입담당자를 중심으로서 2호점 오픈전까지는 1호점의 운영인력을 대신하여 점포영업에 개입하여 상품과 영업 시스템간의 적합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인력양성 및 우발적 상황을 대비하여 CHIEF(대리급)과 VICE(사원)라는 2인조로 각 파트를 구성하여 운영한다.
마아케팅조직(지원조직)
지원조직은 사업의 핵심요소라 할 수 있는 물동과 판촉부분으로서 초기에는 머천다이징 매니저에 배속되었다가 향후 별도 조직으로 독립시키도록 한다.
지원조직은 물동파트와 판촉파트로 구성하여 운영한다. 1호점 오픈전까지는 머천다이징 매니저의 통제하에 업무체계를 구축해 나가도록 한다. 영업 초기에는 머천다이징을 지원하는 측면에서 머천다이징 매니저의 통제를 받도록 하나 2년차 이후에는 마아케팅 파트로 독립시킨다.
따라서 물류업무와 마아케팅 지원업무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물동부문과 마아케팅 부문을 함께 운영토록 한다.
물동
물동은 단순한 상품의 물적 이동이 아니라 이와 관련된 모든 물류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상품재고의 효율적 운영을 전담하는 역할을 수행케 한다.
1호점 오픈전
사업의 성격상의 마아케팅 활동의 핵심적 기능을 물류 내지 물동과 연동하여 전개토록 한다 점포 오픈전에는 DONNA KARAN시스템과 당사 신유통시스템간의 DATA INTERFACE를 위한 시스템 구축작업을 중심으로 접근한다
1호점 오픈후
1호점이 오픈하면 상품의 물적흐름과 정보에 대하여 종합적인 관리를 담당하며 본부차원에서의 점포영업 데이타를 취합 관리하여 물류 흐름을 최적화하도록 한다.
n CHIEF; 대리
n VICE; 물동담당 1, 물류담당(배송) 1
판촉
판촉은 포괄적인 마아케팅 업무를 총괄한다. 물동 및 머천다이징파트와 협조하여 영업과 관련한 계획과 실행을 총괄한다.
n [판촉업무]
n 월단위의 영업계획
n 광고계획 및 매체계획
n 판촉 및 이벤트계획
n 월별 판촉 예산편성 및 정산
판촉담당은 상품전개와 관련하여 시즌별, 월별 테에마와 모티브를 선정하여 광고시안, 판촉메시지를 구성하며, 이를 바탕으로 제일기획 및 외부업체를 코오디네이션하도록 한다.
판촉은 모든 판촉물의 제작과 보급을 담당하면서, 디스플레이 등 점포환경 부문과 관련된 외주 용역업체를 통제 운영한다.
판촉담당자는 점포 오픈전에 SI(Store Identity) 및 BI(Brand Identity)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전문업체를 코디하여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조직
관리조직은 총무, 인사, 영업관리 3개 파트로 구성하며 각 파트의 장은 대리나 주임으로 하여 운영한다.
총무
인허가업무
총무의 중심업무는 1호점 오픈과 관련하여 대형점 개설허가와 같은 인허가 사항과 향후 다점포화를 대비한 최적입지 선정 작업을 중심으로 전개한다.
관재업무
아울러 창고설립 준비, 오픈에 소요되는 비품 등의 사항을 구매 관리한다
총무 담당자는 저장물에 대한 수불관리를 책임지며, 소요량을 예측하여 사전에 발주하는 것을 평상 업무로 한다.
COUNTRY MANAGER업무
COUNTRY MANAGER의 생활편의를 지원하는 업무를 중심으로 한다.
인사
충원
인사는 인력충원 특히 사무실 및 점포의 판매인력을 보조키 위한 아르바이트의 충원 배치 업무와 전배 또는 충원된 인력의 교육을 전담한다.
교육
판매사원을 대상으로 한 세부 교육프로그램 및 교재개발을 담당한다.
구매, 물동, 광고판촉과 같은 본부 직능은 머천다이징 매니저가 별도로 OJT교육 프로그램을 준비하여 실시토록 한다.
영업관리
각 점과 본부 조직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관리 대상 부분을 종합 관리한다.
본부 조직의 전 파트와 점포간의 업무를 조정 통제하며, 특히 각종 계획과 실적을 중심으로 관리적 효율을 제고하고 운영 상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을 기본 업무로 한다.
n 예산 편성 및 손익관리
n P/C 및 E/C(Expense Center)별 운영실적관리
n 상품예산과 판촉예산의 중점관리
재고관리
영업관리파트는 매분기 마다 전 점포를 대상으로 유통본부 인력을 활용하여 정기적인 재고조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조사결과에 대한 대책을 수립한다.
점포조직
인건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직 운영체제를 기본으로 한다.
점포조직은 가능한 한 SLIM화시켜 점장과 점장보조(부점장 또는 소장), 그리고 캐셔를 기본으로 하여 조직을 구성한다.
점장
인력관리와 상품수불관리
점장은 캐셔들에 대한 인원관리와 상품수불과 관련된 계수적인 책임을 진다.
매매익관리 및 점포관리
점장은 점포별 관리손익에 대하여 포괄적 책임을 진다. 점장은 매출 뿐만 아니라 판촉비용, 인건비, 재고 및 물류비용, 수도광열비 등에 대한 저코스트 운영 수준에 따라 평가 받도록 한다.
마아케팅 활동비용은 점별로 배부되어 점장의 실적평가에 반영시키도록 한다.
판매 및 촉진관리
점 자체 판촉을 기획하여 운영하고 필요시 이를 본부와 협조하여 점포 및 에리어 특성에 맞는 마아케팅 활동을 실행한다.
점포차원에서 행하는 가장 중심적인 판촉활동으로는 점포별로 관리하는 고정고객에 대하여 전화나 DM등을 발송하여 고객의 내점빈도와 구매를 올릴 수 있도록 한다.
점장보조
주무
점장보조는 부점장으로서 대리급으로 본부와의 긴밀한 협조하에 점운영을 실무적으로 총괄하는 주무사원 역할을 한다.
부주무
점장보조 중 최고참 캐셔를 조장 또는 부주무로 하여 여사원과 아르바이트 사원 등에 대한 인력관리를 전담케 한다.
판매직
원칙적으로 대면판매를 위한 판매사원은 두지 않으며 필요시 아르바이트를 활용하도록 한다.
소장
각 상품군별로 소장을 두며 소장은 점내 재고 및 진열관리에 책임을 진다.
소장은 J2급 이상의 남자사원을 대상으로 한다.
n 여성의류
n 남성의류
n 용품
캐셔
SELF-SELECTION판매기법을 전제로 매출대금 관리 및 정산 등에 대하여 책임을 진다. 캐셔는 판매보조인력인 아르바이트 사원을 통제하여 진열과 매장 정돈을 중심으로 관리한다
파트타임
아르바이트와 같은 파트타임 인력은 점장이 소요 인력을 산정하여 본부 인사인력에게 충원을 의뢰한다.
아르바이트 등 추가적 인력소요는 점장의 손익관리 항목으로 평가한다.
경비
상품 도난의 개연성이 높으므로 FREE-STANDING점포의 경우 3명 정도의 매장내 경비를 두도록 한다.
수선실
수선실을 운영할 경우 용역계약으로 활용토록 한다.
인력개발계획
단계별 연수계획
연수는 1호점 오픈 전 시스템 구축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1차 연수와 1호점 오픈 이후 점포운영을 중심으로 하는 2차 연수로 구분하여 시행토록 한다.
1차연수는 머천다이징 파트에서 2차연수는 점장급 및 머천다이징 파트의 CHIEF을 대상으로 시행한다.
[연수대상인력]
|
1차연수 (6개월) |
2차연수 |
|
6개월 |
2개월 |
||
머천다이징파트 |
머천다이징 매니저 1 |
|
매입담당 3 |
마아케팅 파트 |
|
|
물동 1 |
매니지먼트 파트 |
주무대리1 (또는 매입담당) |
|
|
점포운영 |
|
점장예정자 3 |
|
l 1차 연수대상 인력의 주요추진 업무
1차 연수 대상자는 경쟁력있는 영업시스템 및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각 기능별 주요 업무 및 관리 운영체계를 집중적으로 파악하여 GENERAL MANAGER과 주요 실무 담당자의 운영시스템 구축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연수계획]
|
머천다이징 파트 |
매니지먼트 파트 |
점포운영파트 |
1차연수 |
DATA ARCHITECTURE MD CYCLE, 재고시스템 점포 및 상품환경, VMD DONNA KARAN의 영업정책, 상품정책 DONNA KARAN의 광고판촉 전략 점포 운영시스템 |
관리 시스템 전반 - 교육 프로그램 - 관리회계 부문 |
(머천다이징 파트에서 대행) |
2차연수 |
상품카테고리별 전문가 양성 - 의류부문 - 용품부문 |
|
점장 교육 |
l 연수과정 중의 중점추진 업무
1차 연수자의 역할은 DONNA KARAN의 주요 업무 KNOW-HOW를 분석하여 당사 운영 시스템에 반영시키는 것을 1차목표로 하며 이를 위하여 현지에서 습득한 것을 분석하여 연수 중간 중간 주요 반영사항을 정리하여 업무에 반영토록 유도(지시)한다.
1차연수자는 각 기능을 통합적으로 전개할 수 있도록 시스템 CONFIGURATION과 각 기능적 요소를 시스템화하기 위한 DATA ARCHITECTURE파악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DATA ARCHITECUTRE]
상품 |
물류 |
영업 |
지원 |
상품군별 데이타 처리 상품속성 데이타 품목관리 관련 단품관리 관련 MD CYCLE시스템 관련 |
MODEL STOCK PLAN SKU관리 BAR CODE체계 재고통제관련 물류/배송관련 물류리포트 |
매장관리 관련 판매관리 관련 진도율관리 관련 촉진가격 관련 REGISTER OPERATION 영업리포트 |
관리손익 시스템 VMD시스템 파트타이머 관리 판촉프로그램 광고프로그램 POP프로그램 |
기능별 연수계획
연수는 머천다이징 파트와 마아케팅 파트, 매니지먼트 파트와 점포운영 파트라는 2개 기능으로 구분하여 시행한다. 전자인 마아케팅과 머천다이징은 효과적인 시스템 구축 차원에서, 후자인 매니지먼트와 점포운영은 시스템의 효율적 운영차원에 이루어지도록 한다.
머천다이징 파트
1호점 오픈 전까지는 머천다이징를 중심으로 조직 운영체계를 원활하게 구성될 수 있도록 연수 프로그램을 유도한다.
머천다이징 파트에서 받는 연수자가 분석한 업무 흐름 및 데이타 아키텍쳐를 받아 상품구성 및 MD CYCLE관리, 상품환경 및 VMD관리 등에 대한 종합적인 상품 및 영업 시스템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인스토어 머천다이징 (점포운영시스템)
1호점의 경우 그 중요성을 고려하여 LAUNCHING후 6개월까지는 GENERAL MANAGER을 중심으로 본부인력이 투입되어 영업 하부구조를 구축하는 것을 전제로 할 때 주요 운영시스템을 구축하는 머천다이징 파트에서 점포관련 머천다이징(In-store Merchandisig)을 중심으로 점포운영기법을 파악할 수 있도록 연수과정을 활용토록 한다.
머천다이징 싸이클 관리 (상품운영시스템)
1호점 점장 업무는 점장의 개인적 관리능력 배양차원보다는 점포 운영시스템 구축차원 및 머천다이징시스템과의 연동이 보다 중시되므로 판매계획 - 발주 - 입점 - 매장전개 - 판매 - 보충발주에 이르는 점포내의 머천다이징 싸이클(MD cycle)관리 기법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당사 시스템에 반영토록 한다 .
머천다이징 매니저는 연수 도중 상품구성 및 구색계획을 준비하여 상품발주시 출장인력의 원할한 상품발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머천다이징 매니저는 연수 후 추후 연수 대상자의 연수 프로그램을 조정하여 보다 효과적인 연수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아이템 머천다이징 (상품전개 및 물동기능)
시스템이 갖추어진 후 각 실무 담당자의 연수는 1차 연수 대상자가 선정한 주요 항목에 대하여 2개월간 해당 직무에 대한 현지 연수를 받도록 한다.
머천다이징 매니저의 연수 후 각 머천다이징 파트 CHIEF가 마아케팅 및 물동담당 CHIEF의 2차 연수를 시행한다.
매니지먼트 파트
인사 및 지원 업무 부분은 주무 대리로 활동할 인력을 대상으로 1차 연수 대상자를 선발하며 연수 범위는 매니지먼트 파트 전 전영역을 대상으로 한다.
점포운영 파트 (점장)
점장에 대한 연수는 머천다이징 파트에서 일정한 업무 경험을 축적케 한후 일정 자격 요건(어학 3급이상)을 전제로 연수를 받게 한다.
1호점 점장은 점 오푼 6개월 후 KEY-MAN으로부터 업무를 인수한다. 그에 따라 1호점 점장은 LAUNCHING 6개월 후 2호점 및 3호점 점장과 함께 1차 연수를 받도록 한다.
교육파트
l SELF-SELECTION에 따른 매장 운영기법
SELF-SELECTION판매를 전제로 할 경우 사원에 대한 교육의 방향은 접객 서어비스 보다는 상품진열과 재고관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l REGISTER OPERATION
점장 보조 사원은 레지스터 등의 오페레이션 업무를 파악하여 이를 사원 들에게 교육시키도록 한다.
l 효율적인 재고관리 및 운영기법
아울러 고객의 대금 결제시 신속한 계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숙련도를 높이는 것을 중시토록 하며, 품절 상품의 빠른 보충과 결품 방지 및 체화재고 발생의 최소화를 이룰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시설준비
매장부문
free-standing을 위한 점포부지는 총무담당, 타사 백화점 입점은 물동담당, 인테리어 및 상품환경 연출은 마아케팅 담당 및 점장 발령 대상자로 업무를 분장하여 준비토록 한다.
1호점 (청담동)
1호점으로서 향후 점포 전개의 MODEL이 되는 동시에 기간 시스템 구축의 기본 배경이 되므로 GENERAL MANAGER에 의하여 점포개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GENERAL MANAGER을 중심으로 인테리어 시공업체에 대한 공사진행 감리 및 각종 인허가 사항을 진행토록 한다.
DONNA KARAN현지 연수자는 상품환경 구성과 관련한 사항에 대하여 분석하여 GENERAL MANAGER에게 보고함으로써 건장진행의 애로사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2호점 (진고개)
진고개점 개발은 진고개 프로젝트 점포개발 인력을 통하여 개발토록 하며, 1호점 준비시 인테리어 시공업체에 대한 공사감리에 참여하였던 인력이 협조토록 한다.
3호점 이후
FREE-STANDING STORES의 경우
FREE-STANDING SHOP개발은 전문 부동산 AGENT(한국 부동산 협회 임광남 회장)를 활용하여 임차 대상점포를 신속히 좋은 조건에 확보토록 한다.
주요 부지에 대한 개발은 총무파트에서 임차조건 협의 및 인허가를 담당토록 한다.
타사 SHOP-IN-SHOP의 경우
백화점내의 SHOP-IN-SHOP은 물동 담당 파트에서 입점을 추진토록 한다.
당사 SHOP-IN-SHOP의 경우
당사 소속의 점포에 대한 출점 해당 프로젝트에 위탁하여 개발토록 한다.
후방부문
창고
l 1호점까지
1호점 청담동의 경우 자체 건물 내에 물류관련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관련업무를 처리토록 한다.
TAG 및 LABEL발행 작업은 점포 사무실에서 직접 발급 부착토록 한다.
물류업무 관계 중 검품관련 업무는 UTOO ZONE 검품 인력의 지원을 받아 개발토록 한다.
l 다점포화시
TAG작업 및 분류/분배 작업을 위한 창고 설립을 수도권 외곽 지역에 추진토록 한다.
배송
l 외주용역 활용
3차년도 이전까지 주요 배송관련 업무는 외주 용역업체와 계약제로 운영토록 한다.
l 배송ROTATION담당
2년차부터 ROTATION관리를 위하여 물동파트 내에 배송담당(소형트럭)을 두도록 한다.
l 물류파트 신설
3년차에는 물동파트와 분리하여 창고관리 및 배송을 중점 관리하는 물류파트를 신설 운영토록 한다.
사무실
본부조직은 본관에 위치시킨다.
점포는 기본적으로 점장, 점장보조인력2, 서무사원2을 기준으로 사무실을 구성한다.
수선실
수선실은 각 점포마다 두도록 하며, 인력운영은 계약제로 하도록 한다.
시스템CUSTOMIZATION
일차적으로는 DONNA KARAN의 AT(Advanced Technology)시스템을 당사 신유통 시스템과의 INTERFACE를 원칙으로 한다.
물동담당은 당사 신유통 시스템과의 데이타 interface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상품 및 영업관련 작업의 전산화를 이루도록 한다.
l DATA ARCHITECTURE분석
시스템 CUSTOMIZATION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DATA ARCHITECTURE는 머천다이징 매니저가 분석하여 코드화시켜 물동담당에게 넘기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머천다이징 매니저는 연수기간 동안 DONNA KARAN사의 모든 데이타 아키덱쳐를 분석하여 물동담당에게 통보토록 한다.
l 통신 ARCHITECTURE분석
물동담당은 다점포화를 대비하여 본부와 점간의 DATA 및 정보교류를 위하여 통신 NETWORK을 구축한다.
물동담당은 머천다이징 파트에서 구성한 데이타 아키텍처를 바탕으로 RDB구축, 통신NETWORK 구축 등과 관련하여 SI(System Integration)작업을 코오디네이션 한다.
l 출력디자인
물동담당은 재고관리 및 운영관리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리포트 구성체계를 개발한다.
tag 및 label 발행 시스템은 공업진흥청 규정에 의거 개발한다.
영업계획
상품계획
l 계획시스템
1호점에 대해서는 머천다이징 파트의 CHIEF들이 1호점 오픈 전까지 BLOC또는 UNIT단위의 상품구성계획을 주단위로 수립토록 한다.
l 정보시스템
머천다이저(매입담당)는 STYLE또는 MODEL별, 칼라별, 사이즈별, 소재별 매출과 재고 추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품정보시스템을 구축토록 한다.
l 관리시스템
머천다이저는 자기 책임하에 목표진도율 및 매출이익율을 관리하며 상품 카테고리별 관리손익(매매익)에 의해 평가받을 수 있도록 한다.
매출계획
l 정번상품
매출계획은 발주량을 기초로 한 당초계획, 전월 영업계획에 따른 수정계획을 일별로 수립하여 관리한다.
l 비정번상품
서브 시즌 종료시 부진 상품에 대한 행사판매 매출을 기획한다.
광고판촉계획
l 영업전개계획
아울러 시즌 및 월단위 영업전략과 광고판촉계획을 해당 월 시작되기 전에 품의하여 시행토록 하며 판매진도율 재고를 위하여 물동의 물량처분계획을 지원할 수 있는 판촉매체 개발을 강조한다.
l DATABASE MARKETING & INDIVIDUAL MARKETING
판촉담당은 각 점포의 고정고객을 종합분석하여 점별로 고객에 대한 DATABASE MARKETING 내지 INDIVIDUAL MARKETING을 실시한다.
(고객의 구매성향에 대한 마아케팅 분석을 활용할 수 있도록 머천다이징 파트와 협조하여 업무를 개발한다.)
매 시즌이 발행되는 DONNA KARAN MAGAZINE을 한글화 작업하여 적정 발송량을 결정하고 이를 활용한 DM활동을 점포인력과 함께 진행한다.
운영전략
홍보전략
오픈 전에는 홍보를 중심으로 활동을 전개하며, 오픈 이후에는 점별 판촉활동을 본부차원에서 지원하는 것을 중심으로 한다.
광고판촉전략
l 매체계획
광고 매체는 잡지를 중심으로 rotation시킨다.
DONNA KARAN MAGAZINE의 원본을 받아 한글판으로 만들어 고정고객에게 송부한다.
l 이벤트계획
신규점 오픈 이벤트
영국의 주요 국경일이나 기념일을 테마로 한 이벤트
l 매장연출계획
각 점포에 소요되는 진열용 집기, 비품, 소도구, 연출용 오브제(0BJECT) 등에 대한 통합 구매 및 조정 보급한다.
특별히 전문적인 매장 연출이 필요한 경우 외부 디스플레이어를 매장과 연결시켜주며, 각점의 DECORATOR를 본부차원에서 양성토록 지원한다.
물동전략
l 진열량계획
zone - bloc - unit별 위치관리를 기준으로 진열량을 산정한다.
상품재고 보관을 위한 별도의 back room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size/전color진열을 기준에 의한 진열량을 산정하며, replenishment에 따른 lead time을 고려하여 추가발주를 시행한다.
l 재고운영계획
효율적인 재고운영을 위하여 전품목에 대하여 단품별 정보관리를 시행한다. 주요 정보사항에 대하여 단품별 cross sectional analysis와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한 예측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가발주를 결정한다.
일차적으로는 모든 스타일(모델)에 대하여 진도율관리를 원칙으로 하나 추가발주분을 고려하여 회전율에 의한 관리도 병행한다.
l 재고처분계획
발주시 안전재고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으며 입점 진열된 상품에 대하여 서븐 시즌별 판매진도율에 의거 관리한다.
비활동성 재고에 대해서는 rotation을 통하여 판매진도율을 높힌다.
체화성 재고를 처분하기 위한 상설 할인 매장을 DONNA KARAN이 입점하지 않은 유명 백화점 내에 구성하여 처분한다.
오픈일정계획
인허가부문
총무 담당자는 대형점 개설허가에서 준공검사에 이르기까지 제반 인허가 사항을 담당한다.
특히 대수선 허가 및 전기 증설 공사 등과 관련하여 연관업체에 대해 현설을 준비하여 진행한다.
건장부문
l 인테리어디자인
각 설계사안에 대해서는 COUNTRY MANAGER의 CONFIRM을 전제로 점장 예정자가 주관하지만 SI와 관련된 부분은 광고판촉 담당자가 종합적으로 DONNA KARAN의 인테리어 파트와 국내 인테리어 설계사 및 시공업체를 코오디네이션한다.
아울러 광고판촉 담당은 전점에 통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facade디자인을 주도한다.
l 시설 및 비품
시설과 비품에 대한 소요량 산정은 광고판촉 담당자와 총무 담당자가 협조하여 DONNA KARAN의 COUNTRY MANAGER의 승인을 받아 추진한다.
l VMD
VMD는 광고판촉담당이 전체를 통제하며 점소속의 DECORATOR를 양성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한다.(외부 연수 의뢰 등)
시즌별 행사별 점별 매장연출을 위해 외부 용역업체나 전문 디스플레이어를 활용하여야 할 경우 이들을 코오디네이션한다.
어플리케이션 부문
SI 어플리케이션
DONNA KARAN에서 별도로 규정지 하지 않고 있는 FACADE에 대해 DONNA KARAN사와의 사전협의 하에 1호점 오픈 전까지 외부에 의뢰하여 개발한다.
n 점내 사인물
n 집기 개발 등
BI 어플리케이션
SI와 연동하여 개발
n 브랜드에 대한 한글표기
n 포장물과 같은 패키지 등.
매출 및 손익 계획
별첨 자료 참조
'상품 > 해외브랜드 (직수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97. 코레스 (NEXT) (0) | 2020.06.28 |
---|---|
296. 코레스 (Elite Model ) (0) | 2020.06.28 |
294. 유럽 패션 디자이너 목록 (0) | 2020.06.28 |
293. 넥타이 전문점사업 검토 (Andrew Shop) (0) | 2020.06.28 |
292. 프로젝트별 경영계획 ('97년) : 유통부문 기획실 해외업무팀 (0) | 2020.06.28 |